Reviews

시선의 근원을 찾아 떠나는 빛의 여행 윤향숙 개인전 ‘Transforming Dots’

인간에게 있어서 본다는 행위는 어떤 것일까? 인간의 감각 중 시각의 우선성은 다른 종과는 달리 태아형성단계에서 육체적 발달보다 시지각의 발달이 폭발적으로 선행하게 된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라캉 J. Lacan 이 말한바와 같이 인간은 몸의 정체성이 형성되기도 전에 시각의 정체성이 먼저 형성된다. ‘본다는 행위’는 한 인간의 생애에 있어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아주 어릴 때 우리가 본 것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어머니의 알아본다는 것은 아기에게 보호와 음식, 안락함을 의미하였기 때문에 ‘생존’ 그 자체였을 것이다. 이후에 우리는 환경 내에서 이리저리 이동하였고. 공간과 사물의 물리적 본질과 시선의 한계, 육체의 한계에 대하여 자각하게 되었다. 어머니의 자궁 안에서 본 것이 기억나지 않는 아기는 태어날 때부터 시선의 근원을 떠나 ‘생존을 위한 시선’(Eye for survival)이라는 타락의 세계로 내동댕이 쳐 진다. 성장한다는 것은 시선이 주변 환경에 대한 권력을 갖는 것이다. 시선은 이제 자신과 타자간의 권력의 장이 된다. 보여지고 본다는 것은 생존을 위한 처절한 권력 투쟁에 다름 아닌 것이다.

윤향숙의 작품들은 이러한 ‘물리적 생존’에 대한 시지각의 예민하고 오래된 감각을 부드럽게 껴안는다. 흐릿하고 경계가 불분명한(Bluring) 대상들이 우리의 망막으로 부드럽게 흘러들어 온다. 그 감각들이 감당해 와야 했던 생존의 경계와 생존의 조건 이전까지 상상하게 해준다. 브라질의 보사노바 뮤지션인 조앙 질베르토(Joao Gilberto)의 노래를 들으면 나는 발화 이전의 소리를 느끼게 된다. ‘듣게 된다’가 아니라 ‘느끼게 된’다고 표현하는 것은 그 목소리가 발화라고 하기엔 어딘지 미성숙하고 모호한 소리로 들리기 때문이다. 마치 어린아이의 ‘옹알거림’이라고 할까? 그 보이스톤과 발성의 미숙함은 나에게 뜻밖의 평온함과 안락의 쾌를 준다. 목소리의 온화한 잔향에서 발성과 발화의 물리적인 근원마저 느껴진다. 내가 윤향숙의 작품을 처음 보았을 때도 다르지 않았다. 인간의 시지각, 본다는 행위의 시원이 느껴졌다. 지금은 기억나지 않는, 어렸을 때 본 어머니의 얼굴이 기억날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그 느낌은 회고조의 감상에 젖는 것과는 다르다. 그보다는 나를 어딘가 전혀 다를 공간, 동시에 아주 어렴풋이 기억나는, 아니 기억난다고도 할수 없는 경험이전의 공간으로 가는 통로를 얼핏 보여줄 뿐이다. 이 작품들은 권력투쟁의 장에서 생존의 시선에 지친 우리를, 세상을 포용하는 시선의 필터링을 통해 따뜻하게 바라보고 있다. 마치 우리가 기억나지 않는 어린 시절 어머니의 모습과 눈길이 아직도 어디선가 우리를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윤향숙은 아주 익숙한 오브제나 일상풍경을 그린다. 사과, 여행가방, 우유각, 책, 사다리 등. 유명한 명화도 이 일련의 리스트에선 가치가 평등한 하나의 오브제일 뿐이다. 최근에는 그녀의 작업실로 쓰이는 컨테이너 건물이나 주변 풍경, 자택이 있는 일산과 도심을 잇는 자유로 등 오브제를 넘어 세상 밖으로 한걸음 내딛은 것을 느낄 수 있다. 아크릴 물감을 이용해 수작업으로 담담히 그려진 그런 오브제나 풍경들이 관객의 시선과 맞닿을 때 특유의 필터링으로 걸러지게 된다. 이 필터링은 일종의 ‘라이트 박스’인데, 박스 자체에 광원이 있어서가 아니라 빛을 끌어들이는 특유의 효과 때문에 내가 임의로 명명한 이름이다. 이 ‘집광’의 효과는 그려진 대상들이 빛으로 둘러 싸여 떠있는 듯한 착시를 준다. 마치 공간에 산재해 있는 빛을 풍경과 함께 한 조각 떠올려 벽에 걸어둔 것이 보인다.

집광의 효과에 필수적인 것은 박스위에 새겨진 수많은 점(Dot)들이다. 그것은 시선의 내부. 망막과 홍채를 지나. 단백질덩어리인 육안과 안구라는 거대한 터널을 지나, 육체와 심장을 지나, 그 어딘가 희미하게 남아있는 내부의 빛을 집광하는 센서이다. 작품의 제목인 ‘점이동’(Transforming Dots)은 인간이라는 개체/점(Dot)을 이동(Transforming)시켜 어떤 다른 차원으로, 비물질인 영혼의 상태에서 물리적인 육체를 지니고 3차원의 딱딱한 세상으로 추방당한 우리를 원해 있었던 어떤 곳으로 데려간다. 우리(Member)를 근원의 그 무엇으로 기억/재집결(Re-member)시켜 주는 것이다. 이 집광판의 점은 이제 단순한 점이 아니라 차원이동(Transforming Dimension)을 가능하게 해주는 여행/통로(Passage)인 것이다. 그 점들은 이제 물리학의 최신이론에서 말하는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의 끈들과 같이 미시세상과 거시세상, 다차원의 세상을 한데 이어 준다. 개체와 점들은 그 끈들의 마지막 끄트머리, 시작 점(Starting Point)이 된다.

윤향숙의 어느 작품에는 교외에 버려져있는 듯한 용도를 알 수 없는 집 한 채가 서 있다. 당신은 그 집으로 들어 갈 수 있다. 그 집 안에는 당신을 어딘가 아주 낯선, 하지만 익숙한 세계로 데려가는 비밀통로가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당신이 이 여행(Passage)을 떠나고 싶다면 할 일은 아주 단순하다. 눈을 지그시 뜨고 이 작품들을 그냥 멍 때리며(Off) 바라보는 것이다. 그러면 물리적인 광원인 태양의 입자와 당신 내부의 광원이 영혼의 입자가 이 부드러운 집광판(Light Box) 위에서 그 여행을 위해 만나 섞일 것이다. 우리라는 존재가 잊어버린 그 곳, 원래 있었던 그곳을 향해 기억 (Re-member) 될 것이다.
시선 이전의 에덴동산을 향해 멀리 떠날 것이다.

강영민(화가)